참고 유튜브데어코딩 웹, 앱 통신 차이 웹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으로 화면을 뛰울때 항상 서버에 .html을 받아서 화면을 사용하고, 앱은 화면이 내장되어있어 데이터를 서버에요청하는 방식이다. AJAX를 사용하는 이유 1 요청에 대한 응답을 html 이 아닌 Data(json)을 받기위해서 기존방법으로 웹과 앱의 서버를 만들때 앱은 화면이 내장되어있어 data만 필요로해 서버가 하나이면되지만 웹브라우저는 항상 화면을 서버에 요청하는 방식으로 DATA와 .html을 통신할때 2개에 서버가 필요하게 되지만 AJAX를 사용하면 json방식으로 데이터를 통신해서 서버가 하나로 해결이가능하다. AJAX를 사용하는 이유 2 비동기식 통신을 하기 위해서이다. 비동기식이란 절차(순서)상관없이 통신을 하는것이다. 예를들어 ..
이 정리는 유튜브 메타코딩님의 강의를 정리한 것입니다. 스프링이란 ? 1. 스프링은 프레임워크(FramWork)다. 프레임워크는 말 그대로 만들어논 틀 안에서 동작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2. 스프링은 오픈소스다. 오픈소스 라는건 소스코드가 공개 되어있다는 말이며 코드의 내부를 수정할 수 있다. 3. 스프링은 IoC 컨테이너를 갖는다. IoC(Inversion of control)는 제어의 역전이란 뜻이며 메소드나 객체의 호출을 개발자가 정하지 않고, 외부에서 결정한다. 기존에는 객체나 메소드를 만들고 다른 클래스에서 사용할려면 New라는 생성자로 객체를 생성하여 호출하여 사용했지만, 스프링은 IoC컨테이너를 갖고 있어 스프링이 따로 만들어놓은 객체를 주입해 객체를 호출한다. **즉, 제어의 흐..
자바 메모리 구조 Static , Heap, Stack 이란 출력(모니터), 연산(CPU), 저장(메모리) 메모리는 논리적으로 메모리가 떠 있는 시간에 따라 Static , Heap , Stack 으로 나눠 놨다. static 프로그램의 시작~끝 담당 (계속 메모리에 떠 있기때문에 부화가 큼) heap 동적할당 영역, 메모리에 떠 있다가 할 일이 다 끝나면 사라짐 (행위의 시작과동시에 실행) stack 행위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영역 (잠깐 떳다 사라짐) 자료형 메모리 구조 RAM(메모리)에 8바이트 크기의 메모리가 있다고 하면 메모리는 1바이트마다 0부터 7까지의 메모리 공간을 만들고 각 공간마다 이름을 붙여준다. 그리고 4byte크기인 자료형int를 int num = 10; 라고선언을 하면 컴퓨터..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직접 하드웨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건 쉽지 않은 일 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보드의 데이터를 받은 운영체제가 중간에서 대신 하드웨어에게 데이터를 저장하라고 명령을내려 우리는 쉽게 데이터를 운영체제를 통해서 하드웨어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키보드,마우스) ->운영체제 ->하드웨어 그리고 프로그래밍을 하는 개발자는 마우스와 키보드를 대신해서 운영체제에 명령할 수 있는 (자바)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워서 os 에 명령을 내린다. 언어(자바) -> os ->하드웨어 JDK 자바라는 언어로 os에 명령을 내릴때는 JDK(JAVA Development kit) 자바 개발 킷이라는 툴을 통해서 운영체제에 명령을 내릴 수 있다. JDK 환경변수 하는 이유 터미널또는 cmd..
에러발생 테스트코드 404에러 간단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테스트코드를 실행하였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났다. 404에러는 테스트 코드의 문제보다는 url쪽 에러라고 해서 먼저 맵핑이 잘안되었나하고 확인했는데 문제 가없었다. @Test ```public void hello가_리턴된다() throws Exception{ String hello ="hello"; mvc.perform(get("/test")) .andExpect(status().isOk()) .andExpect(content().string(hello)); } } @GetMapping("/test") public String hello(){ return "hello"; 원인 원인은 ..테스트코드나 맵핑의 문제가아닌 디렉토리주소가 잘못되었다...
java.lang.AssertionError: 에러 에러발생 원인 index.mustache 파일의 문자열과 IndexcontrollerTest 의 문자열이 틀려서 에러 발생 즉, index.mustache 파일에 "스프링부트로 시작하는 웹서비스" 라는 문자열이 존자하지않아 에러가 발생하였다. 해결 테스트코드의 문자열을 index.mustahe 파일의 문자열과 동일하게 "First Spring Web Service" 로 문자열을 같게 바꾸어 테스트트에러를 해결하였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