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OAuth 동작 원리
1.
- Resorce Owner 카카오로그인 요청 -> blogServer -> kakao API 카카오 로그인요청
2.
- blogServer 카카오로그인 (클릭)페이지 응답 -> Resorce Owner
3.
- 카카오로그인 클릭시 Resorce Owner-> kakao API 로그인 요청
4.
- kakao API 카카오 로그인 동의 페이지(로그인이 안되어있을시 카카오로그인페이지)응답 ->Resorce Owner
5.
- ResourceOwner 카카오로그인 동의 클릭시 kakao API (Resource Owner)인증코드 응답 -> blogServer
6.
- blogServer가 응답받은 Resorce Owner인증코드로 kakaoAPI에 리소스오너 권한요청 kakaoAPI는 kakao resorce server에 있는 Resorce Owner 인증코드와 동일한지 확인후 동일하면 ->Resource Owner권한토큰(Access token 권한 부여)응답
Access token(권한부여)으로 권한 부여를 받는 이유는 카카오 리소스 서버에 리소스오너의 개인정보의 권한을 응답 받기 위해서 이다.
정리
위의 카카오 OAuth는 카카오의 API가 사용자의 인증 처리를 대신 해주며, 사용자의 인증코드, 권한부여를 받기위한 흐름이다.
'Programing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 JPA 탄생 배경 (0) | 2022.04.11 |
---|---|
Spring 스프링 기초 정리 (0) | 2022.02.15 |
gradle 버전 바꾸는 법 (0) | 2022.02.02 |